통계

[통계] 게임 데이터에서의 파레토법칙과 롱테일 법칙 (a.k.a. 고래 유저)

sseozytank 2025. 3. 24.

아래는 3월 내 블로그의 글별 조회수인데, 이걸 보면서 오랜만에 학교에서 배웠던 개념이 하나 생각나서 정리해본다. 식스시그마인지 통계적품질관리인지 둘중 하나의 수업에서 배웠던 것 같다.. 

[통계] 게임 데이터에서의 파레토법칙과 롱테일 법칙 (a.k.a. 고래 유저)

 

그럼 문제의 조회수를 살펴보자.

[통계] 게임 데이터에서의 파레토법칙과 롱테일 법칙 (a.k.a. 고래 유저)
[통계] 게임 데이터에서의 파레토법칙과 롱테일 법칙 (a.k.a. 고래 유저)

 

이렇게 차트화를 시켜보면 좀 더 눈에 확 들어오는데, 깃허브 사용법이 TOP10 조회수 중 약 60%를 차지하고 있다. 

TOP1인 깃허브 사용법과 TOP2인 깃허브 브랜치 글 두개의 점유율을 합치면 약 75%.상위 20%가 전체의 80%를 생산해낸다는 법칙인 파레토법칙이 떠오른다. 

 

1.파레토법칙이란?

상위 20%가 전체 생산의 80%를 해낸다는 법칙. 80:20 법칙 (80:20 Rule) 또는 20:80 법칙이라고 함

 

2.그럼 롱테일 법칙은 뭔데?

롱테일 법칙이란, 파레토 법칙의 반대라고 볼 수 있다. 즉 하위 80%의 생산을 합치면 상위 20%보다 높아진다는 법칙이다. 

[통계] 게임 데이터에서의 파레토법칙과 롱테일 법칙 (a.k.a. 고래 유저) - 2.그럼 롱테일 법칙은 뭔데?

빨간부분이 머리, 노란 부분이 꼬리라했을 때 꼬리가 길어진다 = 하위 구간의 생산이 늘어난다. 라는 뜻에서 지어졌다고 한다. 

 

 

사실 파레토법칙과 롱테일 법칙은 개념상으로는 그렇게 어려운 것이 아니다. 현존하는 통계 개념중에 가장 이해하기 쉬운 개념이라고 할 정도...! 그런데 이걸 게임 데이터랑 어떻게 엮을 수 있을까 ?

 

 

3.그래서 게임 데이터랑 뭔 상관인데!

1.매출 관점에서

게임회사의 근무하며 수많은 매출 데이터를 볼 수 있는데, 모바일 게임에는 흔히 "고래" 라는 유저들이 있다. 

[통계] 게임 데이터에서의 파레토법칙과 롱테일 법칙 (a.k.a. 고래 유저) - 3.그래서 게임 데이터랑 뭔 상관인데!
https://static.inven.co.kr/column/2016/09/12/news/i11974207332.png

 

 

고과금 유저는 비록 전체 유저수의 0.15%, 결제 유저 수의 3.2%밖에 되지 않지만 그들의 매출 기여도는 41%에 달했다고 한다. 이처럼 게임 회사의 매출은 소수의 상위 유저에서 나오는 경우가 다반사이다. 이렇게 고래유저들의 과금을 유도해서 매출을 견인하는 것에서 파레토 법칙이 적용된다고 볼 수 있다. 

 

하지만 이처럼 큰 금액의 결제 유도는 거부감을 일으키기 마련. 그래서 요즘은 하위유저의 소액 결제를 늘리는 롱테일 법칙에 기반한 시스템 / 마케팅을 도입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!  (ex.대박을 노리는 가챠상품을 파는 것도 좋지만, 외변권, 가성비 좋은 패키지를 통해 일반 유저도 쉽게 과금할 수 있게 유도) 

 

2.콘텐츠 소모 관점에서

게임 개발을 하면 엄청나게 많은 콘텐츠들이 들어갈 것이다. 로아로 예를 들자면 수직라인인 수많은 레이드가 있을 것이고, 수평 라인인 스토리, 퀘스트, 내실 등 말이다. 그런데 유저들이 이걸 다 할까? 라고 하면 절대 아니다. 

[통계] 게임 데이터에서의 파레토법칙과 롱테일 법칙 (a.k.a. 고래 유저) - 3.그래서 게임 데이터랑 뭔 상관인데![통계] 게임 데이터에서의 파레토법칙과 롱테일 법칙 (a.k.a. 고래 유저) - 3.그래서 게임 데이터랑 뭔 상관인데![통계] 게임 데이터에서의 파레토법칙과 롱테일 법칙 (a.k.a. 고래 유저) - 3.그래서 게임 데이터랑 뭔 상관인데!
파후.. 🧡

 

분명 소외받는 컨텐츠가 있을 것이고, 대부분 유저들이 집중적으로 플레이하는 컨텐츠가 있을 것이다. 이럴 때 유저들의 플레이 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콘텐츠 별 비중을 확인한다면 어떤 콘텐츠가 가장 집중해서 개발/버그픽스를 진행해야하는지 감을 잡을 수 있다 . 

 

4.결론

파레토 법칙, 중요하다. 하지만 꼬리가 길어지면 무시할 수 없는법! 무작정 들이대기 보다는, 현재 상황에 대한 파악을 한 뒤 우리는 어떤 것에 더 집중해야할지 선택해서 최적의 효율로 최고의 결과를 내도록 하자. 

 

 

 

참고자료 

https://blog.naver.com/bestinall/222774668272 

https://m.post.naver.com/viewer/postView.nhn?volumeNo=13441833&memberNo=24109238

https://smile-baby.tistory.com/146

 

댓글